[23’ CVPR] Teaching Matters: Investigating the Role of Supervision in Vision Transformers

Date:     Updated:

카테고리:

태그:

image


🔍 Abstract

image

CVPR 2023 논문이다. 저자들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 ViT에 대한 총체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때, Supervised (FS, CLIP), Contrastive Self-supervised (DINO, MoCo), Reconstruction Self-supervised (MAE, BEiT)의 특성을 각각 분석한다.

  1. How: Attention: 어떻게 ViT이 정보를 처리하는지 MHA를 시각화하여 분석한다.
  2. What: Features: 실제로 우리가 사용하는 Feature가 어떻게 생겼는지 분석한다.
  3. Why: Downstream Task: 왜, 혹은 어떠한 downstream task에 어떠한 ViT을 사용해야 하는지 분석한다.


1. How: Attention

1.1. Attention Visualizations

image

저자들은 [CLS] Token의 attention map을 분석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했다. Visualization을 보면 Mid-to-final layer에서 그 차이가 드러나는데, 각각의 특징을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 Supervised: Sparse Repeating Patterns를 보인다. 겉보기에는 특별한 spatial meaning이 없는 attention map을 생산해내는 것이다. 이는 [CLS] Token이 아닌 Spatial Token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이러한 패턴은 여러 Head와 여러 Layer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저자들은 이러한 패턴이 Supervised Learning에서만 나타나는 이유로, mid-to-final layer에서는 더 이상 scene structure를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하는 task에 대한 final decision을 처리하는 것이라고 추측한다. 예를 들어 Fully supervised setting이라면, 이미지를 이해하기보다는 Classification Label을 예측하고 처리하는 데 더 집중한다는 것이다. CLIP도 text-superivsed learning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패턴을 보인다.
  • Contrastive Self-supervised: Salient Foreground Object에 집중하여 object-centered blob 형태를 보인다.
  • Reconstruction Self-supervised: 다양한 spatial patterns을 보인다. 이는 여러 위치의 reconstruction loss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spatial patterns을 통합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Sparse Repeating PatternsSupervised Learning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으로, fully-supervised ViT가 self-supervised ViT보다 segmentation 성능이 떨어지는 이유로 설명할 수 있다.


1.2. Emergence of Offset Local Attention Heads

ViT는 MHA를 사용하여 일부 head에서는 local attention을 주로 수행하고, 일부 head에서는 global attention을 주로 수행한다. 그러나 모든 Head의 Attention을 각각 분석하는 것은 쉽지 않다. 저자들은 local attention을 더 잘 분석하기 위해 Aligned Aggregated Attention Maps (AAAMs)라는 Visualization 방법을 제안한다. ImageNet 이미지 5,000개에 대해 각 Spatial Token Attention Map을 구하고, 각 Spatial Token이 배열 중심에 오도록 재배열하여 평균을 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Global Attention 정보는 거의 무시되고 Local Attention 정보만 남게 된다.

image

이를 통해 여러 Head의 역할을 나누어 분석해볼 수 있었다. 거의 자기 자신에만 집중하는 Strict Local Attention Heads, 주변에 집중하는 Soft Local Attention Heads, 그리고 Axial Feature에 집중하는 Axial Local Attention Heads 등 다양한 Head가 있었지만, 저자들은 Offset Local Attention Heads에 주목했다.

Offset Local Attention Heads는 Spatial Token 바로 옆 칸에 집중하는 Head로, 저자들은 이들이 ViT에 꼭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CNN과 달리 ViT의 알고리즘은 특정 Spatial Arrangement를 분간할 방법이 없다. 심지어 Soft Local Attention Heads의 경우 symmetric attention pattern을 가지기 때문에 왼쪽, 오른쪽 등을 구분할 수 없다. 따라서 Offset Local Attention Heads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3. Average Attention Distance

Average Attention Distance는 특정 Head가 Local Attention을 수행하는지, Global Attention을 수행하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이는 각 Spatial Token과 다른 Token 간의 거리를 Attention map을 사용한 Weight을 부여하여 계산된다. 즉, AAD(Average Attention Distance)가 작을수록 Local Attention을 수행하는 Head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image

초기 Layer에서는 Global Attention과 Local Attention이 모두 수행되고, 중간 Layer에서는 Local Attention이 더 많이 수행된다. 그리고 나중 Layer에서는 Global Attention이 더 많이 수행된다. 다만 학습 방법에 따라 그 분포는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어느 정도 수긍 가능한 결과이다.


1.4. Attention Alignment with Salient Content

image

Attention Analysis의 마지막으로 저자들은 Attention Alignment with Salient Content를 분석했다. 이는 Attention Map과 Image의 Salient Object를 비교하여, 어떤 모델이 Salient Object에 더 잘 집중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Self-supervised Model과는 달리 Supervised Model은 Sparse Repeating Patterns로 인해 후반부 layer에서 Salient Object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What: Features

2.1. Last Block Feature Comparisons

image

저자들은 먼저 CKA(Center Kernel Alignment)를 사용하여 Feature의 유사성을 분석했다. 정확히는 Batched CKA를 사용하여 여러 모델 사이의 Feature를 어느 정도 Align하여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CLS] Token의 Feature는 유사한 Supervision 방법을 사용한 모델끼리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Supervised ModelContrastive Self-supervised ModelReconstruction Self-supervised Model보다 Feature가 더 유사하게 나타났다. 한편 Spatial Token의 경우 MAE, MoCo, DINO 간의 Feature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2.2. Depth-Wise CKA Analysis

image

한편 동일한 모델 내부에서 Feature의 유사도를 비교해보면, Supervised ModelContrastive Self-supervised Model은 크게 two-stage로 특성을 처리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Reconstruction Self-supervised Model은 완전히 다른 X pattern을 보인다. 이는 초반부 Layer와 후반부 Layer에서 하는 행동이 유사하기 때문인데, 이는 reconstruction이라는 pre-text task의 특징 때문이다.


2.3. Feature Clustering for Global Semantics

image

저자들은 각 Token이 Global Semantic Information을 얼마나 잘 추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5000개의 ImageNet Image에 대해 Feature Clustering을 수행했다. 그리고 실제 GT Label과 Cluster를 비교하여 Purity를 비교하였다. Purity가 높을수록 Global Semantic Information을 잘 추출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Supervised ModelSelf-supervised Model보다 Global Semantic Information을 더 잘 추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후반부 Layer에서 더 높은 Purity를 보인다.


2.4. Feature Clustering for Local Semantics

image

한편 Local Feature의 경우 Supervised Model, Contrastive Self-supervised Model이 좋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해당 분석의 경우 Object 및 Part에 대해 인식하는 Feature Map을 분석한 것으로 Local Feature를 실제로 잘 인지하는지에 대한 분석이라고 보기에는 어려워 보인다.


3. Why: Downstream Task

3.1. Global Tasks

image

저자들은 Global Task를 비교하기 위해 ImageNet ClassificationImage Retrieval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Global Semantic Feature를 비교했던 Figure 7과 거의 유사한 그래프를 그리며 해당 분석의 결과를 재확인했다.


3.2. Local Tasks

image

전반적으로 Local Task는 바로 마지막 Layer보다는 중간 Layer에서 더 잘 수행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Local Feature를 중간 Layer에서 더 잘 추출하기 때문이다.


💡 Summary

지금까지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Supervised ViT는 mid-to-late layer에서 Sparse Repeating Patterns를 보인다. 이는 final decision을 내리는 데 집중하기 때문이고, 따라서 Classification Task에서는 성능이 개선되는 반면 Dense Prediction Task에 해당 layer는 적합하지 않다.
  2. 모든 ViT에서 Offset Local Attention Heads가 나타나며, 이는 Local Attention을 수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ViT은 local 및 global information을 supervision method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처리한다.
  4. 모든 ViT에서 foreground object에 집중하는 layer는 early-to-mid layer에 나타난다.
  5. Supervised ViT의 특성이 semantic information을 가장 잘 담고 있으나, contrastive self-supervised ViT도 어느 경우에는 비슷한 성능을 보인다.
  6. Localized Task에서는 mid-to-late layer가 가장 좋으나, final layer보다는 중간 layer에서 더 좋은 성능을 보인다.


📃 Reference


Vision 카테고리 내 다른 글 보러가기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