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The Remarkable Robustness of LLMs: Stages of Inference?

Date:     Updated:

카테고리:

태그:

image


🔍 Abstract

저자들은 LLM의 layer를 삭제하거나 그 순서를 바꾸는 등의 변화를 주어도 성능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와 추가적인 실험을 통해 저자들은 LLM이 Layer에 따라 4단계의 Inference Stage를 거친다는 가설을 주장한다. 이러한 Inference Stage는 1) detokenization, 2) feature engineering, 3) prediction ensembling, 4) residual sharpen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Stage의 역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Detokenization: Token이라는 Raw Representation을 적절히 통합하여 High-level Contextual Representation을 만든다.
  2. Feature Engineering: 이를 이용해 Task-specific, Entity-specific feature를 추출한다.
  3. Prediction Ensembling: Hidden representation은 이 단계에서 Vocabulary space와 Align되며, 다음 토큰으로 가능한 단어들을 예측한다.
  4. Residual Sharpening: 이 단계에서는 Prediction을 Refine하고, 가장 가능성이 높은 단어를 선택한다.

이처럼 Transformer 내부를 분석하고,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를 Mechanical Interpretability(MI)라고 한다. 해당 키워드에 관심이 생겨, 앞으로 관련된 논문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1. Layer Lesion Study

image

저자들은 본격적인 가설 설정에 앞서 Layer Lesion Study를 제시한다. 이는 LLM의 Layer를 삭제하거나 순서를 바꾸는 등의 변화를 주었을 때 성능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살펴보는 실험이다.

image

각 지표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자. KL Divergence는 기존 Output Probability와 Layer를 삭제하거나 순서를 바꾸었을 때의 Output Probability 사이의 차이를 측정한다. 즉, KL Divergence가 낮다는 것은 LLM이 Robust하다는 것을 뜻한다. Relative Accuracy는 그와 반대이고, Logit Entropy Difference는 KL Divergence와 유사하게 Output Probability의 Entropy 차이를 측정한다.

결과적으로 Early Layer, Late Layer가 아닌 Intermediate Layer에서는 Swap, Ablation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왜 LLM은 Layer-wise Intervention에 Robust한 것일까? 저자들은 Residual Connection의 영향이 크다고 주장한다.

image

Residual Connection은 Shallow Sub-network를 여러 개 만들어 Ensemble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은 NeurIPS 2016 논문인 Residual Networks Behave Like Ensembles of Relatively Shallow Networks에서 제안된 것이다. 어쨌든 이러한 Residual Connection 덕분에 각 Path에 대한 Dependency가 적게 되고, 따라서 Layer-wise Intervention에 Robust한 것이라고 저자들은 주장한다.


2. Stages of Inference Hypothesis

저자들은 위 실험을 바탕으로 Stages of Inference Hypothesis를 제시한다. 이 가설은 LLM이 Inference를 4단계로 나누어 진행한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실험들을 진행했다.

image

Layer Lesion Study를 제외한 다른 실험들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자.


2.1. Stage 1: Detokenization

위 실험에서 Early Layer는 Layer Lesion Study에 굉장히 민감했다. 이는 Early Layer가 Intermediate Layer와 다른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Transformer의 특정 Neuron이 N-gram과 같이 Local Information을 Aggregate한다는 증거는 계속 제시되어 왔다. 저자들은 이러한 Aggregation이 Early Layer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Attention Mechanism으로 보이고, 이를 Detokenization이라고 명명한다.

image

위 그래프를 보면 Early Layer에서 Local Attention, 즉 Previous Five Token Attention의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동일한 단어가 여러 Token으로 쪼개졌다면 이를 다시 하나로 합치는 역할을 하는 것이 Early Layer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를 명확히 증명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단어,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Token Window가 실제로 하나로 합쳐지는지 Attention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하며, Detokenization에 대한 증명은 아직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2.2. Stage 2: Feature Engineering

image

저자들은 이후 Downstream Prediction에 유용한 Feature를 만드는 Feature Engineering이라는 단계가 존재한다고 생각했다. 이 단계에서는 syntactic feature가 점점 abstraction 되어 semantic feature가 된다. 저자들은 중간 Layer에서 Unembedding을 시행하여 Prediction을 예측하고, 실제 결과와 KL Divergence를 측정했다. 그 결과 이 Stage에서는 KL Divergence가 높았다. 즉, 여기서는 Prediction이 시행되어 정확한 Token을 예측하기보다는 많은 정보를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저자들은 이에 대한 더 많은 증거들을 참고문헌으로 제시하였는데 각각에 대해 다 살펴보지는 않았다.


2.3. Stage 3: Prediction Ensembling

image

이 단계에서는 각 Neuron들이 최종 Output에 대해 서로 일종의 투표를 시행한다. 따라서 가능성 있는 Token들을 모두 예측하는 단계로 이해할 수 있다. 저자들은 기존 논문의 방법론을 따라 Prediction NeuronSuppression Neuron이라는 것을 측정했다. Prediction Neuron은 가장 높은 확률을 가진 Token을 예측하는 일종의 Vote를 시행하는 Neuron이고, Suppression Neuron은 이 Vote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대략 85% 부분에서 이러한 Prediction Neuron은 최대가 되며, 이때에 맞춰 KL Divergence가 감소한다. 이는 Prediction Neuron이 가장 가능성이 높은 Token을 예측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2.4. Stage 4: Residual Sharpening

이에 이어 Suppression Neuron이 모델의 Late Layer에서 등장하는 것으로부터 저자들은 Residual Sharpening이라는 단계가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이 단계에서는 Prediction을 Refine하고, 가장 가능성이 높은 Token을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Prediction Ensembling 단계에서의 투표 결과를 정제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image

Logit Lens Entropy를 볼 때, 이 단계에서는 Entropy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모델에서는 마지막에 오히려 Entropy가 높아지는 경우도 있다. 이는 overconfident predictionblunt하게 만드는 역할이다. 즉, top-level token의 확률을 줄이고 prediction distribution을 더 평평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에 final layer에서 오히려 correct token이 incorrect token으로 바뀌는 문제, pruning과 같은 테크닉이 성능을 향상시키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image

마지막으로 MLP Norm을 보자. MLP Norm이 크다는 것은 각 Layer에서 Residual Stream에 MLP가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뜻이고, 그만큼 Feature가 크게 변한다는 뜻이다. 위 그림을 보면 Late Layer에서 Feature가 격변하는 것을 볼 수 있고, 이는 그만큼 Residual Sharpening이 LLM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Summary

지금까지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LLM의 Intermediate Layer는 Layer-wise Intervention에 Robust하다. 이는 Residual Connection 덕분이며, 이는 Shallow Sub-network를 여러 개 만들어 Ensemble하는 역할을 하기에 각 Layer의 Dependency를 줄일 수 있다.
  • LLM은 4단계의 Inference Stage를 거친다고 주장한다.
    • Detokenization: Token을 적절히 통합하여 High-level Contextual Representation을 만든다.
    • Feature Engineering: Task-specific, Entity-specific feature를 추출한다.
    • Prediction Ensembling: 다음 토큰으로 가능한 단어들을 예측한다.
    • Residual Sharpening: Prediction을 Refine하고, 가장 가능성이 높은 단어를 선택한다.

물론 이 4단계의 Inference Stage는 일부 겹치는 Layer가 있을 수 있으며, Figure를 보면 알겠지만 모델마다 이러한 Stage가 다른 위치에서 나타나고 완전히 consistent하지는 않다. 이러한 부분은 저자들도 Limitation으로 언급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추가로 지금 수행한 실험들이 4단계의 Inference Stage를 직접적으로 증명하는 실험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Transformer의 구조 내부에서 이 정도의 실험을 구상하고 수행한 것은 꽤나 인상적이었다.


📃 Reference


Language 카테고리 내 다른 글 보러가기

댓글 남기기